많이 먹으면 속병이 없다?! <무>의 효능과 고르는법

흐정이 | 2009.09.10 22:56:49 댓글: 0 조회: 630 추천: 0
분류음식이야기 https://life.moyiza.kr/cooking/1616836

무의 주요 영양소 


밭에서 나는 인삼으로 불리우는 "무" !
많이 먹으면 속병이 없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우리 몸에 좋은 무 ^^

무의 뿌리부분에는 소화를 돕는 아밀라아제와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또한 항암효과가 입증된 이소시아네이트 (Isocyanate)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무의 효과

1) 소화촉진, 위장기능 강화

무에는 소화에 도움을 주는 아밀라아제 , 디아스타아제등의 소화효소와 섬유질이 풍부해
소화촉진과 위장기능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2) 기침감기 개선

무는 기침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요.
무가 가지고 있는 수분과 비타민 C는 . 가래를 삭혀주는 작용도 있습니다.

특히 담배를 많이 피우는 사람들은 종종 무생즙을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되요  

3)  숙취해소

무에 함유되어 있는 시스테인 성분은 해독에 효과가 있습니다.


무의 손질과 보관


1) 무 고르는법 :

무는 몸매가 매끈하고 윤기가 있으며 싱싱한 무청이 그래도 달려 있으며 흙이 묻어 있는것이 싱싱합니다.
무엇보다 바람이 들지 않아야 맛있는데 무는 두들겨 보았을때 단단하면서도 꽉찬 소리가 나는것을 골라야 합니다.
무청이 붙어 있는 쪽을 잘라보아 바람이 들었거나 병충해 피해를 입은 무는 피하는것이 좋아요.
무는 너무 크지 않고 무 자체에 가로로 줄기 간것은 대개 단단합니다. 
또한 모래밭보다는 진흙밭의 무가 더욱 달콤합니다.

2) 무는 가을무가 맛있다 !

봄이나 여름에 나는 무는 비교적 가늘고 매운 반면 가을무는 굵고 수분이 많으며 달콤합니다.
그러나 김장용무는 너무 수분이 많으면 빨리 물러지고 시어질 우려가 있어요
무는 어떤 김치를 담그냐에 따라 선택을 잘해야 합니다.

3) 김치별 무 고르는법

1.배추소에 사용하는 무 : 몸이 단단하고 물이 많은 큰 조선무. 원통형에 머리쪽이 푸른것을 고른다
2.단무지,짠지 무 : 왜무. 무청이 달린 싱싱한 것으로 몸이 희고 길며끝이 쭉 빠지고 잔털 없는 것으로 고른다.
3. 총각김치 : 작고 단단하고 둥글둥글한 서울무가 좋다. (느르백이라고도 불리움) 
4. 깍두기 : 물이 많고 몸매가 단단한것으로 윗부분이 푸르고 흰색이 많은것을 고른다. 
                    깍두기 모양을 위해 위아래 크기가 비슷한것을 고른다.  
5. 동치미 : 무청이 싱싱한 것으로 윗부분이 파랗지 않은 것을 고른다.

추천 (0) 선물 (0명)
IP: ♡.141.♡.253
795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bus511
2009-04-19
0
34829
bus511
2008-04-13
0
57103
소설야화
2009-09-22
0
960
가을풍경화
2009-09-20
0
1428
가을풍경화
2009-09-19
0
741
흐정이
2009-09-17
0
710
흐정이
2009-09-17
1
597
흐정이
2009-09-10
0
630
단단
2009-09-08
6
911
새댁
2009-09-02
17
2748
백설아기
2009-08-28
11
1453
행복한일생
2009-08-24
1
934
새댁
2009-08-21
25
3589
수아줌마
2009-08-21
8
1811
새댁
2009-08-05
16
2390
훈이엄마
2009-08-03
1
446
마음의향기
2009-07-28
1
571
성아에미
2009-07-20
16
1461
연길아줌마
2009-07-15
11
2398
뽀샤시
2009-07-13
2
1287
굿 꼬라지
2009-07-09
7
1624
마늘공주
2009-07-04
8
1242
새댁
2009-07-03
15
2258
보고 싶어
2009-07-02
18
1029
ruky
2009-06-30
13
1274
agaaga
2009-06-30
0
479
새댁
2009-06-28
20
2542
보고 싶어
2009-06-26
13
1009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