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엽반(荷葉飯, Heyefan)

흐정이 | 2010.02.18 06:23:56 댓글: 0 조회: 818 추천: 0
분류음식이야기 https://life.moyiza.kr/cooking/1617975

. . . .

(위: 훈제육 연잎밥)
(아래: 갈비로 만든 연잎밥)
연잎 밥은 광동(廣東, Guangdong)인들이 특히 좋하하는 여름음식이다. 청(淸, Qing)초의 사서 <광동신어(新語)>에는 "동관(Dongguan)에서는 찹쌀과 생선, 육류를 연잎에 싸서 쪄 먹는데 그 향이 진동해 이름을 하엽반(荷葉飯, Heyefan-연잎의 밥이라는 의미)이라 하였다"고 기록돼 있다. 하지만 사실상 연잎 밥은 이보다 훨씬 전에 있었다.

전하는데 의하면 진(陳, Chen)나라 시황제 진고조(陳高祖, Chengaozu)가 진국의 황제가 되기전에 량(梁, Liang)조의 태수로 경구(京口, Jingkou)를 지키게 되었다고 한다. 그 때 북제(北齊, Beiji)가 7만명의 병력을 이끌고 경구를 공격해 양방이 1개월동안 대치상태를 유지했다. 북제군이 경구의 출입구를 포위한 지라 경구성안의 군민들은 먹을 쌀이 떨어졌다. 그 소식을 들은 부근의 백성들이 성안의 군대를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연잎에 밥과 고기, 채소 등을 싸서 몰래 경구성안으로 들여갔고 그 지원에 힘 입은 성안의 군대가 북제군을 물리쳤다. 진국을 세우고 황제가 된 진고조는 후에도 늘 이 연잎 밥을 먹었고 그러면서 연잎 밥은 광동의 전통특미로 부상해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민국(民國, Minguo)초기의 <양성죽지사(羊城'竹枝詞)>에는 또 이렇게 적혀 있다. "연못에는 연꽃이 가득한데 우리 누이 아침부터 연못을 찾네. 연꽃을 따지 않고 연잎을 따는데 연잎 밥 연꽃보다 향기롭다네".

연잎 밥의 최고의 특징은 향기인데 향도 짙은 향이 아니라 담담한 향이다. 연잎의 상큼한 향과 쌀의 향이 하나로 어우려져 극치를 자랑하는 것이다. 연잎 밥도 종류가 여러가지인데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훈제육과 쌀을 함께 연잎에 싸서 찌는 밥이다. 그리고 쌀은 향이 있는 쌀보다 일반 쌀을 사용해야 향이 더 잘 스며든다.

김이 모락모락 나는 연잎 밥이 식탁에 오르면 먼저 대각선으로 접은 연잎을 가볍게 펼친다. 연잎이 피어나는 연꽃처럼 열리면 그 속으로부터 향기가 풍겨나오고 발간색의 훈제육이 보인다. 훈제육과 그 밑의 쌀을 저어 한 숟가락 입에 넣으면 훈제육의 향과 연잎의 향, 쌀의 향이 어우러져 그야말로 말로 형용이 되지 않는 극치를 느끼게 된다.

 
추천 (0) 선물 (0명)
첨부파일 다운로드 ( 1 )
12.jpg | 52.6KB / 0 Download
IP: ♡.141.♡.253
794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bus511
2009-04-19
0
34730
bus511
2008-04-13
0
56993
설경매화
2010-06-17
1
628
뷰티미스
2010-06-17
-1
1318
하루하늘
2010-06-15
1
1098
행복한주부
2010-06-11
-1
1036
승타
2010-05-14
0
512
승타
2010-05-14
1
2170
이민호짱
2010-04-20
7
1030
LONOW
2010-03-26
5
2591
밀승대종
2010-03-14
0
1065
밀승대종
2010-03-14
0
952
밀승대종
2010-03-13
0
824
밀승대종
2010-03-13
0
1052
자유의검
2010-03-12
0
676
자유의검
2010-03-12
1
493
밀승대종
2010-03-11
0
573
밀승대종
2010-03-10
0
668
밀승대종
2010-03-09
1
652
tnsdl
2010-02-27
1
1352
흐정이
2010-02-19
0
1839
흐정이
2010-02-19
0
770
흐정이
2010-02-18
1
1272
흐정이
2010-02-18
0
818
흐정이
2010-02-16
0
757
언론자유
2010-02-13
0
403
흐정이
2010-02-13
0
1517
흐정이
2010-02-13
0
1016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