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베스트 월간 베스트 3개월 베스트 베스트 게시물
연길시 신화서점 조선말 도서

레지스트리의 정리-1(펌)

맹이 | 2002.10.14 00:03:23 댓글: 0 조회: 1062 추천: 10
분류컴관련 강좌·팁 https://life.moyiza.kr/itstudy/1747926

☆  ───────────────────────────────────────┐
★ 레지스트리의 모든것     ( 윈도우 정복 )     │
☆  ───────────────────────────────────────┘

┌─────────────────────────────────────────┐
│경 고 : 이 문서를 타 통신망에 올리실때는 원문 그대로 올려 주시고 출처와 제작자를        │
│        확실히 밝혀주십시요.                                                      │
│        위 사항만 잘 지켜 주시면 제 허락이 없이도 어디든 올리셔도 상관 없습니다.        │
│        이 문서에 의해 발생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해서 필자는 결코 책임지지               │
│        않습니다.                                                               │
└────────────────────────────────────────┘

* 이글은 타이니 한글뷰어(해상도800*600)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이 문서를 깨끗하게 보시려면 타이니 한글뷰어(THV) V2.30 으로 보세요.
   윈도우95의 메모장으로 보셔도 좋습니다. 윈도우98의 메모장에서는 표
가 깨지네요.

┌────────────────────────────────────────┐
│* 편의상 존칭은 생략 하겠습니다.                                                │
└────────────────────────────────────────┘

차 례 :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방법
         * 주의 사항
         * 레지스트리 파일 백업 방법
         * 레지스트리 복구 방법
         * 레지스트리 변경 적용
         * 레지스트리의 구성
         * TIP 1 - 레지스트리 관련 팁
         * TIP 2 - 기타 팁
         * TIP 3 - 추천 프로그램
         * 마치며...

━━━━━━━━━━━━━━━━━━━━━━━━━━━━━━━━━━━━━━━━━
▧▧▧▧▧▧▧▧▧▧▧▧▧▧ 레지스트리 편집기 실행법 ▧▧▧▧▧▧▧▧▧▧▧▧▧▧
━━━━━━━━━━━━━━━━━━━━━━━━━━━━━━━━━━━━━━━━━

시작메뉴 - 실행 - C:WINDOWSREGEDIT.EXE - 엔터
(C:WINDOWS 는 WINDOWS `9X 의 설치 디렉토리)

━━━━━━━━━━━━━━━━━━━━━━━━━━━━━━━━━━━━━━━━━
▧▧▧▧▧▧▧▧▧▧▧▧▧▧▧▧▧  주의  사항  ▧▧▧▧▧▧▧▧▧▧▧▧▧▧▧▧▧
━━━━━━━━━━━━━━━━━━━━━━━━━━━━━━━━━━━━━━━━━

레지스트리 라는 것이 윈도우즈에서 사용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모
든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니 만큼 상당히 조심해서 다루지 않으면 멀쩡하던 윈도우가 갑
자기 사용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섭게 변할 수도 있다.하지만 레지스트리 편집이라는 것이
없다면 개성있는
자기 만의 윈도우를 꾸밀 수가 없을것이다. 안전한 작업을 하기위해서
WINDOWS 폴더 안에
있는 SYSTEM.DAT , SYSTEM.DA0 , USER.DAT , USER.DA0 이 네개의 파일을
미리 백업해두는
것이 좋다. 레지스트리 오류로 인해 사용할 수 없게 될 때를 대비해서.

━━━━━━━━━━━━━━━━━━━━━━━━━━━━━━━━━━━━━━━━━
▧▧▧▧▧▧▧▧▧▧▧▧▧▧▧ 레지스트리 백업 방법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나오는 키 중에서 내 컴퓨터를 선택하고
메뉴중에서
"레지스트리 파일로 저장" 을 선택한다.원하는 파일명을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확장자
가 REG 인 파일이 하나 생성이 된다.
다음으로 MDIR 상에서 WINDOWS 디렉토리로 이동한후 ALT+Z를 누른다.
SYSTEM.DAT, SYSTEM.DA0, USER.DAT, USER.DA0 이네개의 파일을 찾아서 스
페이스바로 선택
한후 위에서 백업한 *.REG 파일과 함께 적당한 디렉토리로 복사해둔다.
압축을 해놓아도좋다.

━━━━━━━━━━━━━━━━━━━━━━━━━━━━━━━━━━━━━━━━━
▧▧▧▧▧▧▧▧▧▧▧▧▧▧▧ 레지스트리 복구 방법 ▧▧▧▧▧▧▧▧▧▧▧▧▧▧▧
━━━━━━━━━━━━━━━━━━━━━━━━━━━━━━━━━━━━━━━━━

레지스트리의 이상으로 부팅이 되지 않거나 문제가 생겼을 경우 다음과 같
이 해본다.

첫번째 방법 :

* 이 방법은 부팅은 되는데 레지스트리 오류가 생겼을때 사용한다.만약 부
팅이 안될경우
   안전모드로 한번 부팅을 해본다. 부팅이 되었다면 이방법을 시도해보고
그래도 부팅이
   안된다면 아래 두번째 방법을 이용한다.
   (안전모드 부팅법 : 부팅시 기능키 F8 을 눌러서 나오는 메뉴중 3번을
선택)
* 위에서 백업한 *.REG 파일을 탐색기나 내 컴퓨터에서 더블클릭하고 재부
팅을 한다.
   그래도 해결이 안되었다면 아래 방법을..

두번째 방법:

1. 시동 디스크 (부팅 디스켓)로 컴퓨터를 시동한다.
2. C:>Cd Windows
3. C:Windows>Attrib -r -h -s system.dat
4. C:Windows>Attrib -r -h -s system.da0
5. C:Windows>Ren system.dat system.bad
6. C:Windows>Ren system.da0 system.dat
7. C:Windows>Attrib -r -h -s user.dat
8. C:Windows>Attrib -r -h -s user.da0
9. C:Windows>Ren user.dat user.bad
10. C:Windows>Ren user.da0 user.dat

━━━━━━━━━━━━━━━━━━━━━━━━━━━━━━━━━━━━━━━━━
▧▧▧▧▧▧▧▧▧▧▧▧▧▧▧ 레지스트리 변경 적용 ▧▧▧▧▧▧▧▧▧▧▧▧▧▧▧
━━━━━━━━━━━━━━━━━━━━━━━━━━━━━━━━━━━━━━━━━

아래 서술한 모든 레지스트리 편집을 하고 나면 변경한 내용이 바로 적용
이 안된다.
그럴땐 모든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종료한 다음, 바탕 화면에서 단축 아이
콘이 없는 곳을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누른다. 그다음 F5 키를 누른다. 그래도 적용이 안
되는것은 재부팅
을 해야한다. 그래도 안되면 레지스트리 편집내용을 다시한번 확인해보시
길.

━━━━━━━━━━━━━━━━━━━━━━━━━━━━━━━━━━━━━━━━━
▧▧▧▧▧▧▧▧▧▧▧▧▧▧▧  레지스트리의  구성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6개의 키가 화면에 나타난다.

┌──────────┐
│1.HKEY_CLASSES_ROOT │
└──────────┘
이 키는 OLE 데이터,파일 타입,윈도우에서 사용 하는 확장자,파일과 프로
그램간의 연결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이다.

┌──────────┐
│2.HKEY_CURRENT_USER │
└──────────┘
현재의 사용자 정보를 나타내는 키로 ,제어판 설정 ,네트워크 정보 ,컴퓨
터환경 설정등
윈도우즈에 설치 되있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 설정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3.HKEY_LOCAL_MACHINE│
└──────────┘
이 키는 하드웨어와 하드웨어를 구동 시키는 드라이버 등 하드웨어에 관련
된 정보가 기록
된다는 것을 제외 하고 HKEY_CURRENT_USER 키와 매우 유사하다. 레지스트
리에서 가장
위험하고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키이기 때문에 이를 다룰때는 각별
한 주의를 요한다

┌──────┐
│4.HKEY_USERS│
└──────┘
HKEY_CURRENT_USER 에 저장된 정보 전체와 데스크탑 설정,네트워크 연결등
의 정보가 저장
되어 있으며, 하나의 시스템을 여러 사용자가 서로 다른 계정을 통해 사용
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
│5.HKEY_CURRENT_CONFIG │
└───────────┘
이곳은 레지스트리 가운데 가장 단순한 부분으로 여기 에는 위에서 설명한
HKEY_LOCAL_MACHINE 에 서브로 존재하는 Config의 내용만을 담고 있다. 현
재 설치되 있는
하드웨어의 목록을 볼 수 있다.

┌────────┐
│6.HKEY_DYN_DATA │
└────────┘
HKEY_DYN_DATA 는 Config Manager 와 PerfStats 라는 두개의 서브키를  갖
고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윈도우즈의 상태를 기록합니다. 다른 레지스트리 키와 달
리 하드 디스크에
기록 되지 않기 때문에 이 값은 변경할 수 없다.

┌──────────────────────────┐
│   (W9X) 윈도우즈 95,98 모두 적용 가능한 항목.      │
│   (W95) 윈도우즈 95에서만 적용 가능한 항목.        │
│   (W98) 윈도우즈 98에서만 적용 가능한 항목.        │
└──────────────────────────┘

☆  ━━━━━━━━━━━━━━━┓━━━━━━━━━━━━━━━━━━━━━━━━
     TIP 1  -  레지스트리 관련    ┃▧▧▧▧▧▧▧▧▧▧▧▧▧▧▧▧▧▧▧▧▧▧▧▧
  ┗━━━━━━━━━━━━━━━┛━━━━━━━━━━━━━━━━━━━━━━━━

┌─────────────────┐
│1. 시작 메뉴 속도 높이기. (강추천)│ (W9X)
└─────────────────┘
* 시작메뉴를 열 때 하위 메뉴가 나오는 속도를 매우 빨라지게 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Contral Panel - Desktop 여기로 이
동.
               MenuShowDelay 키가 없다면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등
록`을 누른다음
               MenuShowDelay 키를 새로만든다.이미 존재 한다면 그냥 새
값을 입력한다.
               값을 0 으로 하면 매우 빨라진다.

┌──────────────┐
│2. 자동 메뉴 확장 기능 제거.│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 되어있는 프로그램에 마우스 포인터를 위치시키면
자동으로 하위의
   메뉴가 나온다. 이것을 자동 메뉴 확장 기능 이라고 하는데,때로는 이기
능이 불편할 때
   가 있는데 이기능을 없앨 수도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Control Panel - Desktop 으로 이동한
다.
               우측 화면에 MenuShowDelay 라고 하는 키 를 등록한 후, 여
기에 65534라는
               값을 넣어 준다.이제 윈도우즈를 재시작 하면 마우스로 클
릭하기전 까지는
               하위 메뉴들이 저절로 나오는 일은 없을 것이다.

┌───────────────────────┐
│3. 단축 아이콘 왼쪽 밑에 있는 화살표 없애기.  │ (W9X)
└───────────────────────┘
* 단축 아이콘 밑에 나오는 화살표는 별필요도 없는데 화면만 지저분하게
한다. 윈도우를
   좀더 깔끔하게 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이방법을 쓰는것도 좋을 듯 하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lnkfile 여기로 이동.
               화면의 우측에 나타나는 내용중에  `IsShortCut` 이라고 되
어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다. 이것을 삭제한다.
               그다음 다시 HKEY_CLASSES_ROOT - Piffile 로 이동 한다.
우측 화면 에서
               IsShortCut 라고 되어 있는 것을 삭제한다.

┌────────────────────┐
│4. 아이콘에 256컬러 이상의 컬러 입히기. │ (W9X)
└────────────────────┘
* 플러스팩을 설치하면 바탕화면 테마와 함께 256컬러 이상의 아이콘을 보
여준다. 그러나
   굳이 플러스를 설치하지 않고도 256이상의 아이콘을 볼 수있다.단, 보유
하고 있는 VGA
   카드에서 16비트컬러나 24비트 컬러가 가능해야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ER - Control Panel - Desktop -
windowmetrics 로이동.
               SHell Icon BPP란 `문자열값`을 추가한 후 16또는 24로 값
을 주면 256컬러
               이상의 아이콘을 사용할 수 있다.

┌────────────────────────────┐
│5. `프로그램 추가/삭제` 목록에서 지워지지 않는 항목 제거│ (W9X)
└────────────────────────────┘
*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설치 되있는 상태에서 언인스톨을 하면 이 목록
에서 지워진다.
   하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거 하였거나 혹은 프로그램은 삭제 되었더
라도 목록에서는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런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레지
스트리 편집방법
   이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Uninstall 이라는 항목으로 이동하면 현
재 설치되어있는
               프로그램들의 목록을 볼 수있다. 이 상태에서 제거하고 싶
은 목록 을 삭제
               한다.

┌──────────────────┐
│6. 윈도우즈95를 98처럼 버전 바꾸기. │ (W95)
└──────────────────┘
* 윈도우즈95임을 알리는버전을 98버전으로 바꿔준다. ( 눈속임 ^^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으로 이동. 우측 화면에 윈도우즈와 사용자
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보가 출력되는데, 그 중에 `Version` 과 `Version
Number` 가 있을
               것이다. 이 부분에 `Windows 98` 이라고 입력하고 숫자도
`4.00.1596`으로
               넣자.이로써 등록정보만으로는 최신버전의 윈도우즈로 탈바
꿈한다. 사용자
               이름과 회사명도 바꿀 수 있다.

┌───────────────┐
│7. 자동으로 최신 정보로 고치기│ (W9X)
└───────────────┘
* 탐색기에 어떤 디렉토리를 만들어 넣었다든지 혹은 레지스트리 내용을
변경하였을 경우
   변경된 내용이 곧바로 화면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가끔 있다. 즉 디스
크의 라벨을
   바꾸었다든지, 새로운 폴더를 등록 하거나 이동시켰을 때 화면에 나타나
는 정보가 갱신
   되지 않는 것이다. 이를 해결 하는 방법이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ystem - CurrentControlSet -
Control - Update
               로이동.화면 오른쪽에 보이는 `UpdateMode` 의 값을 01 에
서 00 으로 바꿔
               준다.

┌────────────────┐
│8.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W9X)
└─────────────────
* 윈도우즈의 속도를 조금이라도 높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창의 최대
화 , 최소화에 따른
   애니메이션 효과도 속도를 저하 시키는 원인이 될 것이다.여기서는 그
속도를 높여주는
   방법을 소개한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_ - Control Panel - desktop -
windowmetrics로이동
               우측 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후 `문자열 값`
을 선택하고
               MinAnimate라고 입력한다.그다음 이 값을 더블클릭하여 값
을 `0`으로 설정
               한다. 이것으로 창이 열리거나 닫힐때 최대화 , 최소화 애
니메이션 표시가
               되지 않아 창의 표시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진다.

┌─────────────┐
│9. 휴지통 의 이름 바꾸기. │ (W9X)
└─────────────┘
* 바탕 화면에 있는 휴지통의 이름을 자기 마음대로 바꿀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LASSES_ROOT - CLSID - {645FF040-5081-101B-9F08-
00AA002F654E} 로
               이동. 우측창의 `기본값`이란 이름의 문자열을 더블 클릭
한다.변경하고자
               하는 이름을 써 준다.

* 참고로 다른 것 몇가지도 함께 바꿀 수 있다.

             {20D04FE0-3AEA-1069-A2D8-08002B30309D}   :   내 컴퓨터
             {208D2C60-3AEA-1069-A2D7-08002B30309D}   :   네트웍 설정
             {00020D75-0000-0000-C000-000000000046}   :   받은 편지함
             {85BBD920-42A0-1069-A2E4-08002B30309D}   :   서류 가방
             {3DC7A020-0ACD-11CF-A9BB-00AA004AE837}   :   인터넷
             {992CFFA0-F557-101A-88EC-00DD010CCC48}   :   전화 접속 네트워킹
             {21EC2020-3AEA-1069-A2DD-08002B30309D}   :   제어판
             {2227A280-3AEA-1069-A2DE-08002B30309D}   :   프린터
             {00028B00-0000-0000-C000-000000000046}   :   The Microsoft Network.

┌───────────────────────────┐
│10. 휴지통 메뉴에서 `이름 바꾸기`와 `삭제` 추가하기   │ (W9X)
└───────────────────────────┘
* 휴지통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눌렀을 경우 `이름 바꾸기`와`
삭제`
   메뉴를 추가 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 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LASSES_ROOT - CLSID - {645FF040-5081-101B-9F08-
00AA002F954E}
                - ShellFolder 로 이동
               Attributes 라는 이진값을 등록 하고 값으로 70 01 00 20
을 준다.

┌───────────────┐
│11. 바탕화면에서 휴지통 없애기│ (W9X)
└───────────────┘
* 바탕화면에서 휴지통을 없애고 싶으면 레지스트리 편집을 이용해서 제거
할 수 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LOCAL_MACHINE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Desktop - NameSpace 로 이
동 해서 하위메뉴
               에 있는 {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 이값을
삭제한다

* 휴지통을 없애고 나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했을 경우 휴지통을 비울
수 있는 방법이
   없어진다. 그렇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고, 일단 새로운 휴지통을 만들 적
당한 곳에 새
   폴더를 만든다. 폴더 이름은 `휴지통.{645FF040-5081-101B-9F08-
00AA002F954E}` 이렇게
   입력 한다. 이 폴더를 만들고 나면 이제부터 이 폴더가 휴지통을 대신
하게 될 것이다.
   휴지통비우는 방법은 탐색기나 내컴퓨터를 이용해 새로만든 폴더로 가
서 평소에 휴지통
   비우던데로 하면된다.

┌──────────────────────────┐
│12. 배경화면에 있는 `네트워크 환경` 아이콘을 숨기기.│ (W9X)
└──────────────────────────┘
* 별로 쓰지도 않는 아이콘이 바탕화면에 자리잡고 있으면 괜히 지저분해
보이기만 한다.
   레지스트리를 조금만 변경해주면 그 아이콘을 숨길 수 가있다.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
른쪽 버튼을
                클릭한 후 DWORD값 을 선택한다. "New Value #1" 의 이름
을 "NoNetHood"
                로 바꾼다. 더블클릭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13. 시작 메뉴에 있는 `실행` 을 없애기.│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
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Run` 이라고 변경
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14. 시작 메뉴에 있는 `찾기`를 없애기. │ (W9X)
└───────────────────┘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 오른
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Find` 라고 변경
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
│15. 로그오프 메뉴 없애기  │ (W9X)
└─────────────┘
* 시작 버튼에 등록되어 있는 `로그오프` 메뉴를 없애보자.
*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실행한다.

변경 할 사항 : 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Policies - Explorer 로 이동. 오른쪽 창에서 마우스오
른쪽 버튼을 클릭
               하고 `DWORD` 값을 클릭한 후 이름을 `NoLogOff` 라고 변경
한 후 값으로
               1을 준다.
추천 (10) 선물 (0명)
IP: ♡.27.♡.96
3,00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관리자
2003-09-20
12031
관리자
2003-09-20
11576
관리자
2003-09-20
20732
지구인
2010-08-27
19508
지구인
2009-09-07
13826
SOLIDH
2010-01-29
15790
엔죠라이프
2004-10-07
16875
맹이
2002-10-14
1054
맹이
2002-10-14
746
맹이
2002-10-14
1062
네로
2002-10-11
668
맹이
2002-10-10
1424
0_fist
2002-10-09
650
허인배
2002-09-29
1999
네로
2002-09-24
1625
네로
2002-09-23
919
네로
2002-09-23
1270
네로
2002-09-23
856
네로
2002-09-17
1319
네로
2002-09-14
1526
허인배
2002-09-10
385
허인배
2002-09-10
427
허인배
2002-09-10
854
허인배
2002-09-10
716
허인배
2002-09-10
564
허인배
2002-09-10
418
허인배
2002-09-10
705
허인배
2002-09-08
1161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