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베스트 월간 베스트 3개월 베스트 베스트 게시물
꽃배달 한국, 중국 전지역배송

레지스트리의 정리-3 (펌)

맹이 | 2002.10.14 00:08:42 댓글: 2 조회: 1053 추천: 167
분류컴관련 강좌·팁 https://life.moyiza.kr/itstudy/1747928
┌───────────────┐
│10. *.MP3 파일을 연속 재생하기│
└───────────────┘
예를 들어 C:MP3 안에 있는 A.MP3 B.MP3 C.MP3 라는 세 개의 음악파일
을 연속 재생하고
메모장을 실행 시키고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C:MP3A.MP3
C:MP3B.MP3
C:MP3C.MP3
위와 같이 적은 후 확장명을 *.M3U로 해서 저장한후 재생한다.

┌──────────────────┐
│11. 윈도에서 화면 보호기를 즉시 실행│
└──────────────────┘
키보드의 입력과 마우스의 움직임이 일정시간 동안 없으면 화면보호기가
실행되지만 화면
보호기를 지금 당장 실행 시키고 싶을 때 가 있다. 화면 보호기 파일은
C:Windows 또는
C:WindowsSystem 폴더에 위치하며, SCR 이라는 확장자를 가지고 있다.
원하는 화면 보호기 파일을 찾아 바탕화면 등에 단축아이콘을 만들어주면,
나중에 이 단축
아이콘을 더블클릭 함으로써 화면 보호기를 즉시 실행할 수 있다.

┌───────────────┐
│12. 특정 폴더에 휴지통 만들기.│
└───────────────┘
`탐색기`나 `내컴퓨터`를 실행해 `휴지통`을 만들 폴더로 이동한다.마우
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를 차례로 누르고 새폴더를 만든다.
새 폴더의 이름을
휴지통.{645FF040-5081-101B-9F08-00AA002F954E} 라고 친다.
그럼 짠 하고 휴지통이 생길것이다.

┌───────────────────┐
│13. 시작 메뉴에 제어판 만들기. (추천) │
└───────────────────┘
탐색기나 내 컴퓨터를 실행해 `C:Windows시작메뉴`로 이동한다. 마우
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메뉴에서 `새로 만들기-폴더` 를 차례로 누르고 새 폴더를 만든다.
새 폴더의 이름을 제어판.{21EC2020-3AEA-1069-A2DD-08002B30309D} 라고
바꾼다.
이제 시작 버튼을 눌러보자. 제어판이라는 메뉴가 생겼을 것이다.

┌─────────────────┐
│14. 도스 창의 기본 메모리를 늘리기│
└─────────────────┘
윈도우즈 디렉토리 안에 있는 `system.ini` 파일을 `메모장` 이나 기타 에
디트
프로그램으로 불러온다. 그럼 내용중에 [386Enh] 라는 항목이 있는데 그항
목 사이에
LocalLoadHigh=1 라고 써 넣는다. 그럼 적어도
실행 가능한 최대 프로그램 크기 = 7 이상,
사용 가능한 최대 상위 메모리 블럭 = 9 이상 오를것이다.

┌────────────────┐
│15. 제어판에 있는 아이콘 지우기.│
└────────────────┘
제어판에 있는 사용하지 않는 아이콘을 삭제 하고 싶으면
`C:WINDOWSSYSTEM` 디렉토리
안에 있는 *.CPL 화일중 지우고 싶은걸 골라서 삭제 또는 백업을 해둔다.

예: `프로그램 추가 삭제` 아이콘을 지우고 싶으면 APPWIZ.CPL 이 화일을
삭제 또는 백업
     하면된다.

┌────────────────────┐
│16. 프로그램 없이 화면 캡춰하기. (추천) │
└────────────────────┘
별도의 화면 캡춰 프로그램없이도 얼마든지 원하는 화면을 캡춰할 수 있
다. 윈도우즈에서
현재 화면에 있는 모든내용을 캡춰 하고 싶으면 Print Screen 키를 누른
후 곧바로 그림판
을 실행한다. 그다음 붙여넣기를 하면 신기하게도 모든 화면이 캡춰가된
다.일정 윈도우만
캡춰를 하고 싶으면 `Alt + Print Screen` 키 를 누른후 곧바로 그림판을
실행한다.
그다음 붙여넣기를 하면 활성윈도우만 캡춰가 된다.

┌──────────────────┐
│17. 프로그램에 단축키를 달자. (추천)│
└──────────────────┘
어떠한 프로그램을 실행 하려면 보통 바탕화면에 `단축아이콘`을 만들어
서 사용하는 방법
을 택할것이다.그러나 그렇게 하나,둘.. 단축아이콘을 만들다보면 바탕화
면이 아이콘으로
인해 지저분해짐은 물론 찾기도 힘들어질 것이다.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서는 바탕화면
의 아이콘을 시작 메뉴로 옮겨서 사용을 해야 했는데 이 방법 또한 귀찮
아 하시는 분들이
있을것 같아서 프로그램에 단축키를 다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방법은 매우 간단한데 의외로 모르시는분들이 많더군요.)
우선 해당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이용해서 등
록 정보로 들어
갑니다. 그럼 여러가지 메뉴가 나오죠. (파일정보, 프로그램, 단축아이콘
등등..) 도스용
프로그램의 단축 아이콘일 경우 `프로그램` 탭으로,윈도우즈용 프로그램
의 단축 아이콘일
경우 `단축 아이콘`탭으로 이동한다.그중 `단축키(S)` 또는 `바로가는 키
(K)` 라고 된 곳
이 있을 것이다. 그 곳에서 원하는 키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만약 `S`키
를 눌렀다면 자동
으로 Ctrl + Alt + S 라는 단축키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
│18. <Shift+Space>로 한/영 전환하기. │
└──────────────────┘
* 예전부터 한글(워드)을 많이 사용하신 분들이라면 `한영전환키`
(Shift+Space) 에 익숙
   해져 있을것이다.하지만 윈95가 나오고부터 한영전환은 <Shift+Space>
가 아닌 스페이스
   키 옆에 있는 한/영 전환키를 써야했다. 한글에 익숙해져 있는 사람들에
게는 불편할 수
   밖에 없는 일인데 다시 예전처럼 바꿀수 있는 방법이 있다.

제어판의 키보드로 이동한다. 키보드에서 일반을 누르면
`PC/AT 101키 호환 키보드/내츄럴 키보드(종류1)`로 되어있을 것이다.여기
서 변경을 눌러
모든 장치 보기로 가면 PC/AT 101키 호환 키보드/네츄럴 키보드(종류3)을
선택한 후 확인
을누르면 윈도우CD를 요구 할 것이다. 씨디가 없다면 사용할 수 없을 것이
다. 재부팅하면
<Shift+Space> 로 한/영 변환이 가능해진다. 변경 후에도 한/영 키로 전환
이 가능해진다.

┌───────────────────┐
│19. 한/영 상태 표시기를 없애자. (추천)│
└───────────────────┘
* 윈도우에서 한/영 전환, 한자 표시를 해 주는 `한글 상태 입력창` 이 윈
95를 처음 사용
   하는 초보자 에게는 도움이 되겠지만,수평 이동줄을 가리는 경우가 있
어 눈에 거슬리는
   경우도 있고, 윈도우 숙련자들에게는 매우 거슬리는 존재가 되어버린
다. 화면에서 아예
   추방을 시켜보자.

제어판에의 키보드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자.
실행을 하면 `속도`, `언어`, `일반` 이렇게 세개의 항목이 나온다. `언어
` 로 이동하자.
`작업 표시줄에 언어/한글 입력 상태 표시기 나타내기` 라는 항목에 체크
표시 를 한다.
그리고 확인을 누르면 트레이에 만년필 같은 조그만 아이콘이 생길 것이
다. 이 아이콘 위
에서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한/영 상태 입력 창 보기` 에서 체크 표시를
지운다. 그러면
상태 표시기가 없어진것을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다음 트레이에 등
록 되있는 만년필
아이콘을 다시 없애면 깨끗해진 윈도우를 볼수 있을것이다.

┌─────────────────────────┐
│20. 디스플레이 등록정보의 `설정`항목 아이콘 만들기│
└─────────────────────────┘
* 바탕 화면에서 마우스 우측 버튼에 있는 등록 정보로 들어가면 여러가
지 항목이 있는데
   그중에 `설정`이란 항목의 단축 아이콘을 만들 수 있다.

   먼저 단축 아이콘을 만들 적당한 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뒤
   바로가기(단축 아이콘) 만들기 명령을 내린다. 창이 열리면 명령줄에
   C:WindowsControl.exe desk.cpl, 디스플레이,3
   이라고 적는다. 다음을 누르고 아이콘 이름을 정하면 된다.

┌───────────────┐
│21. 에러메세지 자동 대처 방법 │
└───────────────┘
* 도스용 프로그램을 다루다 보면 한번쯤은 "Abort, Retry, Fail" 이라는
에러 메세지를
   만나 보았을 것이다. 이럴 때 대부분 "Fail" 을 선택하게 되는데, 다음
부터 이런 에러
   메세지가 나왔을 경우 자동으로 Fail 을 선택 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Config.sys 파일을 메모장이나 기타 에디트 프로그램으로 불러와서 아
래 내용을 추가
   한다.

SHELL=C:COMMAND.COM /F

┌──────────────────────┐
│22. DIR 명령 수행시 출력되는 내용 정렬하기. │
└──────────────────────┘
* 프롬프트 상에서 DIR 명령을 내렸을 때, 출력되는 내용(디렉토리,파일
등)을 원하는대로
   정렬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일시적인 방법 (프롬프트 상에서 아래 명령을 수행하면된다.)

dir /og                디렉토리, 파일순으로 정렬
dir /on                가나다, abc순으로 정렬
dir /od                변경한 날짜순으로 정렬
dir /oe                확장자순으로 정렬

* 두가지 옵션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도 있는데, 만약 출력되는 내용을 디
렉토리순,
   가나다순으로 정렬시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dir /ogn

영구적인 방법

* DIR 명령을 수행했을때의 결과를 항상 디렉토리,가나다순으로 정렬시켜
서 출력하고
   싶다면 AUTOEXEC.BAT 파일에 아래와 같은 항목을 추가해주면 된다.

SET DIRCMD= /OGN

┌──────────────────┐
│23. 106 키보드에 있는 Window키 활용.│
└──────────────────┘
* 106 키보드를 보면 Ctrl 키와 Alt 키 사이에 윈도우 마크표시가 된 키
를 볼수 있다. 이
   키를 그냥 눌렀을 경우 시작메뉴를 불러오는 역할을 하는데 그 외에도
여러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윈도우 키와 관련된 단축 키를 알아보자.

WinKey + E                     윈도우 "탐색기" 실행
WinKey + R                     시작 메뉴의 "실행" 메뉴
WinKey + Pause                 시스템 등록 정보
WinKey + F                     시작 메뉴의 "찾기" 메뉴
WinKey + Ctrl+F                "컴퓨터" 찾기
WinKey + M                     열려 있는 모든 창을 "최소화"
WinKey + Shift+M               최소화한 모든 창 다시 열기
WinKey + Tab                   작업 표시줄의 작업간 이동
WinKey + F1                    윈도우 "도움말" 실행

┌──────────────────┐
│24. 윈설치시 SETUP.EXE의 유용한 옵션│
└──────────────────┘
* 윈도우를 새로 설치할때 SETUP.EXE라는 파일을 실행시켜서 설치한다.여
기서는 이파일에
붙여서 사용할수 있는 유용한 옵션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 사용법 : SETUP.EXE 옵션

/is : 자동으로 scandisk가 실행되는 것을 막는다.
/id : disk space 체크를 하지 않는다.
/iq : cross-linked files 과 folder integrity 체크를 건너 뛴다.
/in : 네트워크 설치 모듈을 건너 뛴다.
/iw : 마이크로소프트 설치 경고문을 건너 뛴다.

┌──────────────┐
│25. 시작단추의 위치를 바꾸기│
└──────────────┘
* 작업 표시줄 제일 왼쪽에 자리잡고 있는 `시작단추` 를 작업 표시줄의
내에서 어떤 곳
   으로든지 옮길수 있다. (재미로 한번 해보세요)
   (단 작업표시줄이 자동숨김이 선택되있으면 적용이 안됩니다.)

시작단추를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한번 누른다.메뉴가 열리면 다시한번 시
작단추를 마우스
왼쪽버튼으로 누른다. 그럼 다시 메뉴가 닫힐것이다. 그럼 그때 Alt 와 -
키를 누른다.
(Alt + -) 그럼 메뉴가 하나 나올것이다. 그중 이동을 선택하고 시작단추
를 원하는곳으로
이동하면된다. (이동할때는 키보드의 이동키를 이용)

┌──────────────────────┐
│26. 시스템에 자기만의 로고와 정보 입력 하기 │
└──────────────────────┘
* 제어판의 `시스템` 을 실행하여 `일반`탭을 보면 시스템 사용자 정보가
있고 왼쪽 아래
   쪽은 빈 공간으로 남아있다. LG나 삼보 컴퓨터(등등)를 가지고 있는 사
람들은 그회사의
   로고가 있는것을 보았을 것이다.이제 이 보기싫은 로고를 지워 버리고
자기만의 로고와
   등록정보를 넣어 보자.

1 로고 만들기.
   자기가 좋아하는 스타 사진이나 기타 좋아하는 그림등을 BMP 형식으로
변환한뒤 크기를
   200x120 로 맞춘다. 이미지의 색상은 하이컬러든 트루컬러든 다 된다.
편집을 하였으면
   C:WindowsSystem 폴더에 Oemlogo.bmp 라는 이름으로 저장한다.
2 등록 정보 만들기.
   C:WindowsSystem 폴더에서 Oeminfo.ini파일을 찾아 메모장이나 기타
에디트 프로그램
   으로 불러오기 한뒤 아래와 같이 자기만의 등록 정보를 입력한다.
   만약 Oeminfo.ini 파일이 없다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새로 만든다.
┌────────── Oeminfo.INI  파일 예제 ──────────┐
│[general]                                                       │
│Manufacturer= SamSung Magic Station X                           │
│Model= 586 Pentium 133MHZ 32RAM                                 │
│                                                                │
│[Support Information]                                           │
│Line1=                                                          │
│Line2= ┌────────── D E U X ───────────┐  │
│Line3= │                                                   │  │
│Line4= │          전화번호 : 0342 - 744  - 8259            │  │
│Line5= │          호 출 기 : 015  - 7742 - 0479            │  │
│Line6= │                                                   │  │
│Line7= │              HiPi Boys Only D.E.U.X               │  │
│Line8= │                                                   │  │
│Line9= └───────── F O R E V E R ─────────┘  │
│Line10=                                                         │
│Line11=                                                         │
│Line12=                                                         │
│Line13=                                                         │
│Line14=                                                         │
│Line15=◎D    E    U    X    F    O    R    E    V    E    R◎  │
└────────────────────────────────┘
☆  ━━━━━━━━━━━┓━━━━━━━━━━━━━━━━━━━━━━━━━━━━
   TIP 3  -  추천 프로그램┃▧▧▧▧▧▧▧▧▧▧▧▧▧▧▧▧▧▧▧▧▧▧▧▧▧▧▧▧
┗━━━━━━━━━━━━┛━━━━━━━━━━━━━━━━━━━━━━━━━━━━

* 아래 서술한 모든 프로그램들은 제가 직접 사용을 해보고 괜찮다고 생각
한 프로그램 들
   이라 추천하는 것이지 프로그램을 홍보하는것은 아닙니다.
* (***) 표시가 된 프로그램들은 트레이나 `시작메뉴` 에 등록이되지 않
고 시스템에 직접
   설치가 되는 프로그램으로 설치,언인스톨이 간편한 메모리 점유가 거의
(아예)없는 강력
   추천 프로그램입니다.
* 아래의 모든 프로그램 들은 각 통신망 공개 자료실 (PDS) 또는 동호회
자료실에 등록이
   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구하실 수 있을겁니다.

┌────────┐
│1. Comedy (***) │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즈 에서 `단축아이콘` 을 대상으로 마우스 오
른쪽 버튼을
        눌렀을경우 나오는 메뉴중 `Edit File` 이라는 메뉴를 추가 하는
것 입니다. 뭐에
        쓰이는 물건이냐 하면 예를 들어 *.INI 같은 파일을 에디트 할때
보통하는 방법이
        메모장 또는 기타 에디트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불러 오기를 해서
편집을 할
        것입니다.그렇게 귀찮게 할필요없이 단축아이콘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으로 누르고
        `Edit File` 을 한번만 딸깍 눌러주면 자동으로 메모장이 실행되
고 해당 아이콘의
        내용이 출력됩니다. 여기서 메모장외에 다른에디터를 사용하고 싶
으면 제어판에서
        다른 편집기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2. Dead Link Cleaner (***)│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시작메뉴` 에 등록 되 있는 단축 아이콘을 하나 하
나 검색해서
        프로그램은 이미 지워졌는데 아이콘이 남아있다던지 하는것을 해결
해주는 일을
        합니다.예로 메모장의 파일명은 NotePad.EXE 인데 이파일만 지우
면 시작메뉴 에는
        주인 없는 메모장 이라는 단축 아이콘만 남게 되는거죠. 이런 쓸
데 없는 아이콘을
        삭제 해주는 역할입니다. 사용법은 설치후 `시작 버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나오는 메뉴중 `Dead Link Cleaner`를 클릭하면 됩니다.

┌───────────────┐
│3. MP3 - Info Extension (***) │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MP3 파일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른후 등록 정
보를 눌렀을
        경우 MP3-Info 라는 항목을 추가해서 해당 MP3의 모든 정보를 보여
주는 역할을
        합니다. (노래 제목,가수,음질 등등..)

┌─────────────────┐
│4. Windows 95 Font Smoothing (***)│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Microsoft사에서 직접 내놓은 프로그램인데
170KByte라는 작은용량
        에 비해 매우 유용한 기능이 많습니다. 그 기능이 뭐냐면 바로
Windows 플러스팩
        에서 테마 기능을 뺀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거죠. `내 컴퓨
터`나 휴지통의
        아이콘,이름 바꾸기, 창을 끄는동안 내용 표시하기, 배경화면을 화
면 크기에 맞게
        늘리기, 영문 폰트를 부드럽게 다듬어주기 등등의 플러스와 똑같
은 기능을 가지고
        있죠. 설치를 하면 일반 플러스 팩을 설치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등
록 정보에 PLUS
        라는 항목이 생성됩니다.

┌──────┐
│5. Power Zip│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완전 공개 프로그램인데 비해 매우 막강한 기능을
가지고 있죠.
        윈도우용 압축 관리 프로그램 으로는 `Winzip` 이 대표적이었는데
저는 Winzip
        보다는 Powerzip 을 추천 하고 싶네요 일단 완전 공개라는 점에서
부담이 없고
        기능은 Winzip만큼은 못하지만 사용하는데는 아무 지장이 없습니
다.
        RAR, ZIP, ARJ 등 거의 모든 압축 프로그램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6. Cool Tools Change Type (***) │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의 탐색기나, 내컴퓨터에서 각종 파일들의 확
장자를 쉽고
        간편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기존 탐색기나 `내 컴
퓨터`에서는
        파일명을 제외한 확장자는 화면에 표시가 되지 않기 때문에 확장자
를 변경하는 것
        이 매우 불편 했지만 이 프로그램을 설치 하고 나면 모든것이 해
결 됩니다.설치후
        해당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면 나오는 메뉴중
`Change Type` 을
        딸깍하고 눌러주면 언제 어디서든 간단하게 확장자를 변경할 수 있
습니다.

┌────────┐
│7. Micro Angelo │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윈도우의 종합 편집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굉장히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단축아이콘 왼쪽 아래 있는 작은 화살표
없애기,내컴퓨터
        휴지통, 시작 메뉴안의 제어판 등등의 모든 아이콘 바꾸기, 마우
스 커서만들기,
        아이콘 만들기, 등등 여러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8. ACDSee │
└─────┘
설명 : 말이 필요 없는 최고의 이미지 뷰어 프로그램이죠.거의 모든 이미
지 데이터를지원
        하고 속도도 무지 빠른게 장점이죠.

┌───────┐
│9. Pica View  │
└───────┘
설명 : 이 프로그램역시 `ACDSee` 를 제작한 ACD System사에서 만든 프로
그램인데 이미지
        데이터 Preview,데이터 변환,월페이퍼로 지정등 매우 유용한 프로
그램입니다.

┌─────────────────┐
│10. NewFolder for Windows 95 (***)│
└─────────────────┘
설명 : 파일 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탐색기에서 새폴더를 만들
기 위해서는 왼쪽
        트리에서 상위 폴더를 찍고 오른쪽 창에서 등록 - 폴더 이런식으
로 만들어야 했지
        만 이 프로그램을 설치하면 왼쪽 트리던 어디던간에 아무곳 에서
나 새폴더를 간단
        하게 만들수 있습니다.

┌───────┐
│11. Win Play3 │
└───────┘
설명 : 보통 MP3 플레이어로는 WinAmp 를 많이 사용하는데 저는WinAmp 보
다는 Winplay3를
        추천하고 싶습니다. WinAmp 만큼 기능은 많지 않지만 실행 속도 만
큼은 최고 라고
        할 수 있죠. 메모리 점유율도 적고. 저 사양의 시스템보유자에게
유용하게 쓰일
        겁니다.

┌───────────┐
│12. Microsoft Regclean│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이름에서 보다시피 Microsoft 에서 제작한것입니
다. 레지클린의
        역할은 Windows의 모든 정보가 들어있는 레지스트리 파일을 검색해
서 잘못된 정보
        를 찾아 수정(삭제)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레지클린을 실행 하면
자동으로 검색을
        시작하는데 레지스트리에 오류가 있을경우 `Fix Error`라는 단추
가 활성화 되는데
        이 단추를 클릭하면 오류가 수정되는 것이죠. 수정된 오류는 자동
으로 레지스트리
        파일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언제든지 다시 복원할 수도 있습니다.

┌────────┐
│13. Clean System│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시스템에서 사용하고있는 모든 DLL 파일을 추적해
서 쓸데 없는 DLL
        파일을 찾아서 백업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실행 해준 후 필요없
는 DLL 파일들은
        자동으로 백업이됩니다.백업후 시스템을 몇일간 사용해서 아무문제
가 없으면 백업
        이 된 파일들을 지워줘도 되구요.문제가 있을경우 언제든지 복원
이 가능합니다.
        (거의 정확하기 때문에 곧바로 지워도 별지장은 없을듯..)

┌───────┐
│14. Gold Wave │
└───────┘
설명 : Wave 편집기로는 거의 최강정도로 봅니다.(제생각) 매우 다양한 기
능을 가지고
        있고요.. CD에서 WAV를 추출할수도 있고 사용하기도 매우 편리합니
다.

┌──────┐
│15. Easy Pad│
└──────┘
설명 : 이 프로그램은 문서 편집기 인데,나우누리의 채경삼 님이 직접 제
작하신 프로그램
        입니다. TXT,DOC,HTML,HWP 등 대부분의 문서 파일을 지원하고 선그
리기 표 그리기
        등 편리한 기능이 많습니다.

┌───────┐
│16. MDIR 3.XX │
└───────┘
설명 : 모르시는 분 없으시겠죠? `도스쉘` 로서는 최강이라고 할 수 있습
니다. 거의 설명
        이 필요없는..
        참고로 윈도우 도스창 아이콘의 최적 옵션을 적어보겠습니다.

        우선 도스창 아이콘의 `등록정보`로 들어가야겠죠. 들어갔으면 프
로그램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여기서 `작업 디렉토리`를 C: 로 변경합니다. 그다
음 밑에 있는
        `일괄 파일` 에 C:MDIRM.EXE 를 추가합니다.
        (MDIR이 있는 경로는 사용자마다 틀리겠죠)
        다음으로 밑에 있는 `단축키`에 사용하고 싶은 단축키를 입력합니
다. 입력 방법은
        위에서 설명했습니다.(사용하기 싫으시면 안해도 좋구요) 그리고
밑에있는 `실행`
        을 전체화면으로 변경합니다. 다 하셨으면 이제 `기타` 항목으로
이동합니다.
        `마우스` 항목에서 `빠른 편집`을 체크하고, 밑에 있는 `활성상태
시 경고`를 체크
        해제 합니다. 그리고 밑에 있는 `보유 자원 반환 속도` 를 최대로
올리고 `적용`
        또는 확인을 누르고 나옵니다.

        이렇게 하고 영문도스를 사용한다면 실행 안되는 프로그램 없이 쌩
쌩 잘돌아
        갈겁니다. (영문 도스 사용법은 위의 `Tip 2 - 기타`에서 4번을 참
고하세요)

┌───────────┐
│17. 도스용 프로그램들 │
└───────────┘
아래 대부분의 프로그램들은 MDIR에 각각의 확장자마다 등록시켜서 사용하
시면 좋습니다.

VPIC(그래픽 뷰어)
QV(멀티미디어 재생기AVI,MP3,WAV 등등)
HE(헥스 에디터)
RAR,ARJ,PKZIP,PKUNZIP,LHA,TOMP,ZOO(압축 유틸리티)
THV(문서뷰어 HWP,TXT,DOC등등)
SEA(그래픽 뷰어)
CLOAKING(메모리 절약 마우스 드라이버)
NWCDEX(메모리 절약 CD-ROM 드라이버)
LDEVICE(부팅과정 없이 도스에서 시디롬 띄우기)

∴ 위 프로그램들을 잘만 이용하시면 최적의 시스템 환경을 꾸미실 수 있
을 것입니다.

━━━━━━━━━━━━━━━━━━━━━━━━━━━━━━━━━━━━━━━━━
▧▧▧▧▧▧▧▧▧▧▧▧▧▧▧▧▧ 그럼 20000 ▧▧▧▧▧▧▧▧▧▧▧▧▧▧▧▧▧▧
━━━━━━━━━━━━━━━━━━━━━━━━━━━━━━━━━━━━━━━━━

여러분! `레지스트리의 모든것` 이 부활을 했습니다. 그동안 작업을 포기
하고 있었는데
시간이 지나니 다시 하고 싶어져서 이렇게 또다시 버전업(?)을 했네요.^^

처음에는 레지스트리 위주로 글을 썼었는데 지금은 레지스트리 외에 여러
가지 내용 들을
쓰다보니 `레지스트리의 모든것` 이라는 제목이 왠지 어울리지 않는것 같
아서
`윈도우 정복` 이라는 부제를 달았습니다.그리 잘난 내용은 아니지만 이글
을 보시는분들
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 뿐입니다.

틈틈히 버전업 (팁 몇가지 추가 하는것 뿐인데 버전업 이라고 하니 좀 이
상하지만...)을
해가며 글을 쓰다보니 재미도 있고 다운횟수를 보며 보람도 느낍니다.많은
분들이 제글을
읽어 주시니 그저 감사할 따름이고요 앞으로도 좋은정보가 있다면 여러분
들과 함께 하기
위해 꾸준히 버전업을 해갈 생각입니다.

  ~~~~~~~~~~~~~~~~~~~~~~~그럼 언제나 행복하시구 건강하세요!!
~~~~~~~~~~~~~~~~~~~~~~~

  궁금하신 점은 아래 아이디로 메일을 주세요. 성심 성의껏 답변해 드리겠
습니다.
  소감이나 격려편지도 환영입니다 ^^ 충고나 조언도 좋구요. 단,욕설은 절
대 사양입니다

☆  ────────────────┐  ☆  ────────────────┐
           작 성 자 : 정윤채          │                                      │
   └─────────────────┘  │      netsgo : j2911              │
☆  ────────────────┐  │                                  │
           ◎ DEUX Forever ◎         │  │        
   └─────────────────┘  └────────────────  ☆

              
               E-mail : j2911@netsgo.com
                        j2911@netian.com
                       the8et@hanmail.net .....

           명언 한마디 : 일본겜은 백업시디로 !! 국산겜은 정품시디로 !!
추천 (167) 선물 (0명)
IP: ♡.27.♡.96
騎仕 (♡.99.♡.43) - 2002/10/14 19:35:10

좋은 자료와 지식에 대하여 감사 합니다.

星空 (♡.101.♡.129) - 2003/04/24 09:42:30

아주 좋은 글이네요.

3,00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관리자
2003-09-20
12012
관리자
2003-09-20
11560
관리자
2003-09-20
20720
지구인
2010-08-27
19495
지구인
2009-09-07
13810
SOLIDH
2010-01-29
15774
엔죠라이프
2004-10-07
16857
맹이
2002-10-14
1053
맹이
2002-10-14
746
맹이
2002-10-14
1061
네로
2002-10-11
668
맹이
2002-10-10
1423
0_fist
2002-10-09
650
허인배
2002-09-29
1999
네로
2002-09-24
1624
네로
2002-09-23
919
네로
2002-09-23
1270
네로
2002-09-23
856
네로
2002-09-17
1318
네로
2002-09-14
1525
허인배
2002-09-10
385
허인배
2002-09-10
427
허인배
2002-09-10
854
허인배
2002-09-10
716
허인배
2002-09-10
564
허인배
2002-09-10
418
허인배
2002-09-10
705
허인배
2002-09-08
1161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