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의 사계절

안전한운전 | 2011.07.11 13:39:20 댓글: 5 조회: 785 추천: 3
분류풍경 https://life.moyiza.kr/picture/1709351

온실을 찍어봤습니다.   

추천 (3) 선물 (0명)
첨부파일 다운로드 ( 1 )
DSCN1413.JPG | 250.3KB / 0 Download
IP: ♡.162.♡.184
보이자 (♡.14.♡.40) - 2011/07/11 21:26:40

전통적으로는 겨울철의 온실은 불때면서 온도를 유지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혹시 발열선으로 온돌난방을 만들어 온도를 유지하면 어떨가요?보일러는 코스트가 비싸고,필름난방은 안정적이지 못하고 석탄불은 온도조절이 좀 바쁠뿐만 아니라 사람이 자꾸 지켜봐야할것이니말입니다.

청개구리 (♡.188.♡.55) - 2011/07/11 22:36:34

아,,,,벼모 온실을 보니 고향생각이 나네요.....

촬영날자를 보니 5월달이니, 겨울철 온실은 아니지요. 봄철이면 모두
저런식으로 온실을지어서 모를 기르는거지요....불을때거나해서 온도유지는
안합니다.봄철 온실에서는....

잘 구경하고 갑니다.

보이자 (♡.14.♡.40) - 2011/07/11 22:49:46

↑ 비닐박막을 열어놓은것만 봐도,그리고 비닐박막우에 솜이불같은걸로 덮지않은것만 봐도 겨울이 아니라는것정도는 누구나 다 알지요.
님 글에 댓글 안 달았다고 트집잉?ㅋㅋ
그럼 달아줍지비.ㅎㅎ

수박 (♡.224.♡.238) - 2011/07/11 23:57:43

고향 있을대 벼모 비닐하우스에 들어가서 물도 주고
등 일을 많이 하였습니다....
(청명후 시작해서 5월중순으로 끝나는 벼모 비닝하우스)

20년전 시절 떠 오르게 하는 사진입니다...

고추고추 (♡.161.♡.28) - 2011/07/18 14:13:20

중국은 전기세가 비싸서 전열난방은 어렵습니다.
가장 현실성이 있는것이 석탄보일러지요. 난방비용의 부담때문에 야채의 경우 기후가 더운 남방지역에서 재배하고 트럭운수로 북방에 날라다 판매하는것이 중국의 가장 보편적인 방법입니다. 벼모는 특성상 현지재배를 해야겠지만 말입니다.

13,083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bus511
2010-10-26
0
51674
무우
2007-09-14
8
95516

저녁노을.. (4)

파랑노랑 | 2009.04.28 23:48

재밌는 포즈. (4)

hai | 2009.04.28 23:43

줄 똑바로!~ (3)

hai | 2009.04.28 23:38

강아지 (2)

JDTFH | 2009.04.28 17:47

강아지와 고양이 (3)

JDTFH | 2009.04.28 17:42

노을~ (10)

아이야 | 2009.04.28 17:16

장미 꽃다발 (2)

시시시 | 2009.04.28 09:55

카네이션 (1)

시시시 | 2009.04.28 09:52

서울 선유도공원 (2)

시시시 | 2009.04.28 09:41

서울 삼성동에 위치한 봉은사 (2)

시시시 | 2009.04.28 09:37

水星사진 (6)

커피킬러 | 2009.04.27 21:30

신기한 형광색 장미 (5)

시시시 | 2009.04.27 20:04

카라 (1)

시시시 | 2009.04.27 20:00

야생화 매발톱이예요. (2)

시시시 | 2009.04.27 19:55

한국 해인사 (1)

다리병 | 2009.04.27 19:06

이상하게 생긴 (4)

qqc | 2009.04.27 14:15

서울 남대문 야경입니다. (1)

시시시 | 2009.04.27 10:49

서울 경복궁옆 국립민속박물관 (2)

시시시 | 2009.04.27 10:40

서울 경복궁 사진 (1)

시시시 | 2009.04.27 10:36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