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도 궁금헤서 검색하다가..

듀푱님듀푱님 | 2020.02.09 19:25:51 댓글: 1 조회: 1506 추천: 0
분류단순잡담 https://life.moyiza.kr/freetalk/4057859

원래는 전유럽을 강타한 흑사병전염원인에 대해 참고할려다
뜻밖의 이런글보네요..
난 이거 첨듣는 얘기인데...

......................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전염병이 퍼질 때마다 각종 미디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내용 중 하나가 중세 유럽을 휩쓴 흑사병에 대한 이야기다. 1346년 유럽 동부 흑해 일대에서 시작된 흑사병은 당시 교역로를 타고 유럽 전역으로 퍼져 단 2년 만에 3000만명 이상을 죽음으로 몰아넣었다.



단기간에 수천만 명을 사망케 한 유럽의 흑사병은 몽골군이 러시아 크림반도를 침공할 때 세균전을 목적으로 성내로 던진, 흑사병에 중독된 사체에서 시작됐다. 아시아 전역에서는 몽골군이 세균전에 활용할 만큼 흔하던 질병이었고 대부분 문명권에서 이미 오래전부터 겪은 전염병이었다. 중동에서 시작돼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동북아시아 전역에서도 꽤 유행했으며 로마제국 시대에는 유럽에서도 수차례 퍼졌다.



전염 속도가 무서운 건 사실이지만 흑사병은 환자 격리를 철저히 하고 간호하는 사람들도 천으로 코와 입만 가리면 전파 세균의 90% 이상이 차단된다. 다른 바이러스성 전염병에 비해 차단 방법이 간단한 전염병이다. 하지만 로마제국 멸망 이후 이 병을 천 년 만에 처음 접한 유럽인들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 무너지면서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이전 흑사병에 대한 의료 기록은 대부분 소실된 상태였고 방역 체계 자체에 대한 지식 또한 대부분 날아간 상태에서 각국은 우왕좌왕할 뿐이었다. 이 틈에 온갖 거짓된 정보가 판을 치면서 사망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 이 병이 신의 징벌이라며 채찍고문단이 유행했는데, 가뜩이나 전염병이 창궐한 상황에서 온몸에 일부러 생채기까지 내니 세균이 체내에 침투하기 더 쉬운 환경만 조성됐다.





피해가 거의 없던 사람들은 전염병에 대한 대응책이 율법으로 몸에 배어 있던 유대인이었다. 바깥에 나갔다가 오면 옷과 신발의 모든 먼지를 털고, 기도 전에 반드시 온몸을 닦으며, 정결치 못한 고기나 음식은 철저히 금하라는 율법이 자동으로 방역 체계 기능을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심리적으로 무너진 유럽인들은 역으로 유대인이 악마와 손을 잡고 흑사병을 퍼뜨렸다며 수많은 유대인을 화형에 처해버렸다.

추천 (0) 선물 (0명)
첨부파일 다운로드 ( 1 )
output_959758048.jpg | 457.0KB / 0 Download
IP: ♡.49.♡.135
돈귀씽 (♡.144.♡.45) - 2020/02/09 19:44:07

하구싶은 말이 뭐니...?

976,51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크래브
2020-06-28
11
370980
크래브
2020-05-23
3
313748
크래브
2018-10-23
9
340997
크래브
2018-06-13
0
375927
배추
2011-03-26
26
700962
qiao
2020-02-18
1
7941
널쓰게보니
2020-02-18
0
7303
것은
2020-02-18
0
9490
마음을담아
2020-02-18
1
7439
이변호사
2020-02-18
1
8438
것은
2020-02-18
1
7783
촌아사저이잇소
2020-02-18
0
7760
마음을담아
2020-02-18
2
8754
촌아사저이잇소
2020-02-18
2
9041
널쓰게보니
2020-02-18
5
8698
킹올소
2020-02-18
1
8083
찬열오빠
2020-02-18
2
7642
마음을담아
2020-02-18
0
6954
촌아사저이잇소
2020-02-18
4
8328
마음을담아
2020-02-18
3
8109
촌아사저이잇소
2020-02-18
2
8972
아톰다리개튼튼아톰다리개튼튼
2020-02-18
1
6739
마음을담아
2020-02-18
1
7602
촌아사저이잇소
2020-02-18
2
6954
StandUp
2020-02-18
4
5938
Ginkgoleaf
2020-02-18
5
6994
꽃보다지지미
2020-02-18
4
5985
촌아사저이잇소
2020-02-18
1
5061
것은
2020-02-18
0
5141
널쓰게보니
2020-02-18
0
4784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