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시간대에 우유를 마시는것이 제일 좋을가?

모주석학습합시다 | 2016.01.11 19:03:15 댓글: 0 조회: 811 추천: 0
분류건강·상식 https://life.moyiza.kr/lifetips/2959932
될수록 저녁에 우유를 마시는것이 좋다. 우유에는 인체가 피곤을 느끼고 잠을 취하도록 하는 생화물 L트립토판이 들어있고 또 소량의 모르핀류 물질이 들어있는데 이런 물질들은 일정한 진정수면작용을 가지고있다. 특별히L트립토판은 대뇌가 세르토닌을 합성하는 주요원료이고 세르토닌은 대뇌의 수면에 관건적인 역할을 한다. 이는 대뇌의 사유활동을 억제하고 인체의 수면욕구를 불러일으키고 아무런 부작용이 없을뿐만아니라 우유가 위벽에 붙어 흡수도 잘된다. 우유중의 칼시움은 긴장된 정서를 없애주기에 로인들의 수면에 더욱 유익하다.

어떤 사람들이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하는가?

평소에 복부팽창, 방귀가 많으며 복부통증, 설사가 있는 사람들은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이런 증상들은 비록 우유로 인해 나타난것은 아니지만 우유를 섭취하면 더욱 가중될수 있다.

복부수술을 한 환자들은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이런 사람들은 평소 장에 공기가 많이 차는데 우유중에 함유된 지방과 건락소는 위장내에서 소화가 잘되지 않으며 발효후 기체가 발생해 장이 더욱 팽창해지게 할수 있어 장윤동기능의 회복에 불리하다.

소화도궤양 환자들은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우유는 비록 위산의 위궤양에 대한 자극을 완화할수 있지만 이는 위장점막을 자극해 대량의 위산을 분비하기에 병세가 더욱 가중해지게 한다.

철결핍 빈혈환자들은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음식중 철은 소화도에서 페로로 전환되여야 흡수되고 리용될수 있다. 만약 우유를 마시면 체내의 페로는 우유중의 칼시움염, 린염과 결합해 불용성 화합물로 되는데 이는 철의 흡수리용에 영향을 주고 빈혈환자들의 건강회복에 불리하다.

담낭염과 췌장염 환자들은 우유를 마시지 말아야 한다. 우유중 지방의 소화는 담즙과 리파아제의 참여가 필요한데 우유를 마시면 담낭과 췌장의 부담을 가중시켜 병세에 불리하다.
추천 (0) 선물 (0명)
IP: ♡.44.♡.175
11,896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옥란화
2009-04-30
0
32532
보라
2006-06-20
1
40200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984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635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738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507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679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702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2
0
617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658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599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811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822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781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595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502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747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531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435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1
524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627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617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425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1
0
426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0
0
625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0
0
1002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0
0
759
모주석학습합시다
2016-01-10
0
385
모이자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