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25. 만족

chillax | 2024.05.24 16:03:22 댓글: 0 조회: 218 추천: 0
분류교양서적 https://life.moyiza.kr/fiction/4570590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 25




어디에서 행복을 찾아야 하는가 5



행복한 순간은

너무나 짧다

[만족]





“행복은 결핍에서 만족으로 빠른 전이.”


행복이 짧고 고통이 길게 느껴지는 이유는 행복이 찰나의 짧은 꿈처럼 느껴지는 반면 고통은 현실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를 증명하듯이 한국인의 일생이 80년이라고 할 때 평생 웃는 시간은 고작 한 달밖에 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가 있었다. 하루에 웃는 시간이 90초뿐이다. 반면 걱정하고 근심하는 시간은 하루 3시간으로 조사돼 평생 10년이나 걱정하며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뇌 과학이 밝혀 낸 바에 따르면 인간은 대개 일생 동안 50만 번 이상 웃는다. 대체적으로 나이가 어릴수록 웃음이 많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그 빈도가 줄어든다고 한다. 50만 번이 아주 많아보이지만 생애를 기준으로 환산하면 웃는 시간은 짧다고 할 수 있다.

웃음이 줄어드는 이유는 행복한 감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이유도 있겠지만, 뇌의 노화 같은 생리학적 퇴행도 꼽을 수 있고 사회적인 환경도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행복은 항상

과거형이다


쇼펜하우어는 행복이란 많은 경우 결핍에서 충족으로 넘어가는 짧은 순간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늘 결핍은 인간에게 고통이지만 충족에서 과잉으로 넘어가면 권태, 지루함의 감정에 사로잡히기 때문이다. 행복은 그 사이의 짧은 만족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행복을 즐기는 순간은 찰나와 같이 금방 지나간다. 영원하고 지속적인 행복이 없기 때문에 오히려 그런 작은 행복감에 만족할 수 있어야 된다. 행복은 멀고 크고 높은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일상 가까운 곳에 있다.

행복은 결핍이 채워질 때 느끼는 주관적인 만족감이다. 쇼펜하우어는 결핍에서 느끼는 불쾌에서 만족을 느끼는 쾌감으로 넘어가는 과정을 빠른 이행으로 봤다. 너무나 짧은 순간에 만족이 결정되기 때문에 행복과 불행의 차이는 기대보다 크지 않다. 인간이 불행한 이유는 여러 가지 결핍때문인데, 언젠가 그 결핍이 충족되면 행복감으로 넘어갈 수 있으나 그 지속도가 너무 짧다. 그래서 행복의 순간은 인지하지 못하고 지나는 경우가 많다.

영원한 행복이란 존재할 수 없다. 모든 쾌락은 단순히 결핍을 제거하고 긴장에서 벗어나는 것에 있으므로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성공, 성취, 합격 등 우리가 행복했던 순간을 되돌아보면 너무나 짧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려운 시험에 합격했다고 해서 그 기쁨이 몇 달씩 지속되지는 않는다. 인생의 큰 틀에서 보면 대부분 작은 것에서 행복이 이뤄진다. 음식을 먹을 때 첫 숟가락, 사람을 처음 만났을 때 설렘, 첫 출근 등등이 우리의 결핍을 채워서 만족으로 넘어가는 단계인데, 이때가 가장 행복하다. 행복은 빨리 잊혀진다. 또 다른 결핍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미래에 어떤 일을 겪을지 알 수 없으며 그 고통을 견디면서 살아가게 된다. 그러므로 너무 큰 행복을 기대해선 안 된다.



자신에게 알맞은

행복이 있다


일본의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확행이라는 용어가 꽤 유행한 적이 있다. 소확행은 그의 에세이 <<랑케르한스 섬의 오후>>에서 쓰인 말로,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의 축약어다. 갓 구운 빵을 손으로 찢어 먹을 때, 서랍 안에 반듯하게 정리돼 있는 속옷을 볼 때 느끼는 행복과 같이 바쁜 일상에서 느끼는 작은 즐거움을 뜻한다. 작지만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는 행복이나 그런 행복을 추구하는 삶의 경향이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은 작은 만족에서 얻는다. 짧은 행복은 작을 수밖에 없다.

소식이 몸을 건간하게 하고 폭식이 건강을 해치듯이 행복은 소소한 것에서 찾아야 작고 짧은 행복을 즐길 수 있다. 행복은 늘 빠르게 지나가기 때문이다. 시간이나 젊음, 모든 것은 잠깐 머무르다 떠나가기 때문에 작은 쾌락에 만족할 줄 알아야 된다. 갈증을 채워 주는 커피 한 잔이 정말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것처럼 말이다. 짧은 만남, 인연이 주는 작은 즐거움에 감사할 수 있어야 된다. 감당할 수 없는 너무 큰 행복, 만족은 따분함을 가져와 새로운 것을 찾게 만든다.


합격, 성취, 젊음, 시간은 순식간이다.

찰나의 순간을 포착하라.


40대는 인생의 고통을 충분히 알기 시작한 나이다. 사회적으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 인정도 받고 인간관계의 폭도 넓어지고, 결혼하여 자녀가 있는 경우도 있다. 성취한 만큼 책임도 늘어나면서 고통도 많아진다. 40대는 자신의 인생의 전체를 들여다봐야 한다. 인생의 시작과 함께 끝을 생각하면서 자신만의 계획이 필요할 때다.




시간과 행복은 지체하지 않고 흐른다.


추천 (0) 선물 (0명)
IP: ♡.242.♡.218
23,613 개의 글이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조회
나단비
2024-05-29
0
209
chillax
2024-05-29
0
205
chillax
2024-05-28
0
176
chillax
2024-05-28
0
173
chillax
2024-05-24
0
218
chillax
2024-05-24
0
203
chillax
2024-05-24
0
174
chillax
2024-05-23
0
184
chillax
2024-05-22
0
171
나단비
2024-05-21
1
338
나단비
2024-05-21
0
163
나단비
2024-05-21
0
226
chillax
2024-05-21
0
196
나단비
2024-05-21
0
141
나단비
2024-05-21
0
140
나단비
2024-05-20
0
168
chillax
2024-05-20
0
151
chillax
2024-05-20
0
143
나단비
2024-05-20
0
159
나단비
2024-05-19
0
178
나단비
2024-05-19
0
150
나단비
2024-05-19
0
171
chillax
2024-05-10
0
241
더좋은래일
2024-05-10
1
298
더좋은래일
2024-05-10
1
241
더좋은래일
2024-05-10
1
246
더좋은래일
2024-05-09
1
276
더좋은래일
2024-05-09
1
244
더좋은래일
2024-05-09
1
228
더좋은래일
2024-05-09
1
191
모이자 모바일